25년7월 청년도약계좌 조건 금리 가입절차 유의점 34세 이하 청년 지원

2025년 7월 기준 청년도약계좌 완벽 가이드

2025년 7월 기준 청년도약계좌 최신 종합 안내

청년들의 자립을 돕고 목돈 마련 기회를 제공하는 청년도약계좌 신청하기,2025년 7월 현재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제공하는 청년도약계좌의 핵심 정보를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1. 가입 조건 및 기간

  • 가입 기간: 5년 (60개월), 매월 1,000원부터 최대 70만원까지 자유롭게 납입 가능
  • 연령 기준: 만 19세 이상~만 34세 이하 (군 복무기간 최대 6년 제외)
  • 개인 소득 요건: 총급여 7,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6,300만 원 이하
  • 가구 소득 요건: 중위소득 250% 이하 가구
  •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최근 3년) 제외

2. 정부기여금 및 금리 구조

2025년 1월부터 정부는 소득 구간에 따라 월 최대 33,000원의 기여금을 지급합니다.

  • 40만 원 납입 시: 6% = 24,000원
  • 50만 원: 4.6% = 23,000원
  • 60만 원: 3.7% = 22,200원
  • 70만 원: 3.0% = 21,000원 (추가구간 포함 시 최대 33,000원 지원)

금리는 기본 3년 고정 후 2년 변동금리 적용되며, 은행별로 우대금리를 별도로 제공할 수 있습니다.

3. 중도인출 및 해지 정책

2년 이상 유지 시 원금의 40%까지 중도인출이 가능하며, 비과세 혜택 유지됩니다.

3년 이상 유지 후 해지할 경우에도 정부기여금의 60% 이상을 받을 수 있으며, 5년 만기까지 유지 시 전액 수령 및 이자 비과세 혜택이 적용됩니다.

4. 신용 점수 가점 혜택

가입 후 2년 이상 유지하고 납입액이 800만 원 이상인 경우 NICE 또는 KCB 기준으로 신용점수 5~10점 가점이 가능합니다. 이는 신용대출 한도나 금리 결정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5. 가입 절차 및 유지 심사

  1. 은행 앱 또는 지점 방문하여 신청
  2. 가구원 동의 필요(행정정보 조회용)
  3. 심사 기간 약 2주 소요
  4. 가입 후 매년 소득 재심사를 통해 기여율 유지 여부 결정
    • 1~6월: 전전년도 소득 기준
    • 7~12월: 직전년도 소득 기준

6. 활용 팁과 전략

  • 연말정산 전까지 연간 납입액을 최대로 채워 절세효과 극대화
  • 도약형 상품 선택 시 투자 성향 고려하여 안정성 중심 펀드 선택
  • 가구원 소득·재산 변동 시 매년 유지심사 통과 여부 주의
  • 청년내일저축계좌, 연금저축, ISA와 함께 복합 활용 가능
다음 이전